농업생명환경대학은 1951년 충북대학교의 모체인 청주초급농과대학으로 개교한 이래 지난 60여년 동안 농업생명환경분야에 필요한 전문 고급인력을 배출함으로써 국가와 해당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명실상부한 명문대학으로 자리매김을 해왔다.
농생명산업은 역사 이래 인류의 생존에 꼭 필요한 식량과 자연환경을 공급해 왔으며, 현 세대가 미래 세대에게 전해 주어야할 중요한 미래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식량자원의 안정적 확보, 다양한 생물자원과 자연환경의 보존, 친환경 안전 농축산물의 생산, 건강 기능성 고부가가치 농축산식품의 공급, 국민의 소득수준에 부합하는 휴양 및 복지 서비스 제공, 기반시설의 확충 및 농업경제의 안정적 성장에 필요한 농생명 전문인력 양성 및 연구역량 강화는 우리 농업생명환경대학이 담당해야 할 중요한 사명이다.
나아가 급변하는 국제시장질서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첨단농업, 친환경농업, 바이오에너지농업 등 시대를 앞서가는 선진 연구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누리사업, bk21사업, linc사업, bk21-plus사업 등 대형 국책사업에 참여함으로써 현장감과 글로벌 소양을 갖춘 교육 및 연구인력 양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농업생명환경대학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최우수 성과를 자랑하고 있는 73명 교수진의 지도아래 1,800여명의 우수한 학생이 수학하고 있다.
농업생명환경대학의 교육목표는 국민경제의 지속적 성장, 농업과 농촌의 발전, 농업인의 소득 및 복지증진,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안정적 식량의 확보, 친환경·기능성 고부가가치 농산물의 생산·가공·유통, 녹색성장 기반조성 및 지역자원의 효율적 이용 등에 필요한 농생명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있다.
부서 | 주요업무 |
---|---|
농업생명환경대학 (제6행정실) |
|
부서/직책 | 성명 | 전화번호 | 업무 |
---|---|---|---|
학장 | 우수동 | 043-261-3025 |
|
교학담당 부학장 |
조진호 | 043-261-2501 |
|
행정실장 | 서정민 | 043-261-2503 |
|
팀장 | 임형석 | 043-261-3517 |
|
행정실 | 권혁필 | 043-261-2504 |
|
김정환 | 043-261-2506 |
|
|
김현진 | 043-261-2500 |
|
|
김동수 | 043-261-3518 |
|
|
박민영 | 043-261-2508 |
|
|
농장 | 오진수 | 043-261-2606 |
|
곽상철 | 043-249-1624 |
|
|
정현수 정은선 이준혁 |
043-261-2606 |
|
|
동물자원개발센터 | 권완구 서철원 |
043-261-2601 |
|
학술림 | 임형석 | 043-261-3516 |
|
정운성 | 043-261-2039 |
|
|
한민수 | 043-653-1902 |
|
|
전문농업인최고경영자과정 | 김민희 | 043-261-2398 |
|
동번호 | s20 |
---|---|
건물명 | 첨단 바이오연구센터 |
호수 | 2층 201호 |
콘텐츠 담당자 | 김동수 043-261-3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