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이달의 연구자’로 화학과 김민 교수 선정
우리 대학이 9월의 '이달의 연구자' 로 화학과 김민 교수를 선정했다.
김민 교수는 피인용 지수(Impact Factor) 46.2, 학문 분야별 IF값 상위 0.8%의 국제 저명 학술지인 「Chemical Society Reviews」에 ‘Covalent connections between metal-organic frameworks and polymers including covalent organic frameworks(금속-유기 골격체와 고분자 및 공유결합성 유기 골격체 사이의 공유 결합 연결)’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해당 논문은 저널에서 선정하는 ‘2023 Pioneering Investigators’ 특집호에 포함됐다.
이 논문에서 김민 교수는 2000년대 이후 저밀도 다공성 신소재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금속-유기 골격체 소재와 고분자 소재를 공유 결합을 통해 화학적으로 연결하여 튼튼한 복합체를 형성하는 전략을 정리해 총설로 보고했다.
이 총설에는 여러 종류의 화학 결합을 통해 금속-유기 골격체와 고분자 소재를 연결하는 전략을 분류 및 소개하고 있으며, 그 중 싸이올기와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연결하는 싸이올-엔 광반응 전략은 김민 교수 연구팀에서 2018년 「Journal of Material Chemistry A」와 2020년 「ACS Applied Nano Materials」, 2022년 「Inorganic Chemistry」에 보고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또한,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의 김진영 교수 연구팀이 논문의 작성에 함께 참여했다.
김민 교수는 “금속과 유기물의 반복적인 배위 결합으로 얻어지는 금속-유기 골격체는 장점이 많은 소재이지만, 일반적으로 수분 환경이나 산/염기 조건에서 안정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번 논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전략처럼 고분자 소재와 공유 결합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런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동시에 소재의 다양성을 확장할 수 있다”며 “분자를 합성하고 화학 결합을 다루는 기초연구부터 실제 사용될 수 있는 소재까지 적용되는 넓은 범위의 연구를 열심히 수행해 준 대학원생들과 공동연구진에게 감사한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은 논문 발표 학술지의 피인용지수(IF) 및 학문분야별 IF값, R&D 수주 금액, 기술이전 금액 등을 기준으로 매달 이달의 연구자를 선정한다.
|
2023.09.27 |
37 |
2023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선정
화학과 유일태(박사 4년, 지도교수 김남준) 씨가 2023년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NRF)에서 지원하는 ‘2023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의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부분에 선정됐다.
유일태 씨는 연구책임자로써 앞으로 2년 동안 ‘극저온 이온트랩에 저장된 거대 단백질 이온에 대한 원편광 이색성 분광법 연구’를 주제로 연구를 진행한다.
이 연구는 원편광 이색성 분광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이차구조를 분석하고, 규칙성을 찾아내고자 하는 내용으로, 유일태 씨는 이번 사업을 통해 연간 2천만원의 연구비를 해당 주제를 위해 지원받는다.
한편, ‘2023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은 국내 대학원 박사과정의 학위 논문 연구와 관련된 창의적-도전적 아이디어를 지원하기 위해 2019년 시작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지원사업이다.
|
2023.09.27 |
32 |
전기공학부 이용권 씨, ‘2023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 연구장려금 선정
전기공학부 이용권 씨(석박사통합과정 4년, 지도교수 권오민)가 ‘2023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의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신규과제에 선정됐다.
이용권 씨는 ‘시간 지연이 존재하는 다 개체 시스템의 중심성 분석 기반 고정 제어연구’를 주제로 앞으로 2년 간 연간 2,000만원씩 총 4,000만원의 연구비를 교육부(한국연구재단)로부터 지원받아 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이용권 씨는 지난 학위과정 중 총 6편의 SCIE급 논문(게재승인 포함 1저자 2편, 공동저자 4편)과 1편의 KCI급 논문(1저자)을 게재했고, 2022년도 박사과정 전문연구요원 선발시험에 합격하여 현재 편입대기 상태다.
한편, ‘2023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은 국내 대학원 박사과정의 학위 논문 연구와 관련된 창의적-도전적 아이디어를 지원하기 위해 2019년 시작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지원사업이다.
|
2023.09.19 |
445 |
기계공학과 박채영씨, 우수한 연구력으로 다수 수상
기계공학과 박채영(석사 2년, 지도교수 이인환)씨가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어 화제다.
박채영 씨는 지난 5월 10일(수)부터 5월 12일(금)까지 제주 라마다프라자제주호텔에서 개최된 ‘2023년 한국정밀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한데 이어 지난 4월 26일(수)부터 4월 28일(금)까지 부산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된 ‘2023년 한국기계가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거뒀다.
2023년 한국정밀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는 적층제조시스템 부문에서 ‘A Study on the Flexible Pressure Sensor Performance of Sensor Material and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Electrical Circuit Configuration(센서 재료와 전도층의 전기 회로 구성에 따른 유연 압력 센서 성능 연구)’를 주제로 발표해 상을 받았다.
이는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센서 재료와 전도층을 배열하여 유연 압력 센서의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그에 따른 성능을 연구한 것이다. 유연 압력 센서의 응답성 및 재현성을 발전시킨 연구다.
2023년 한국기계가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는 적층제조 부문에 ‘Study on the Multi-laye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lexible Pressure Sensor(유연 압력 센서의 다층 구조 특성 연구)’를 발표했으며, 탄소나노튜브 기반 유연 압력 센서를 다층 구조로 성형하여 층 개수 변화에 따른 응답특성을 연구해 상을 받았다. 이 연구는 단일재료, 단일공정으로 층 개수를 다르게 성형하여 다양한 응답특성을 갖는 센서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층 개수가 다른 센서 여러 개를 배열하여 넓은 감지범위를 갖는 센서의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2023.09.18 |
401 |
화학과 김도필씨, ‘2023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선정
화학과 김도필(석박사통합 5년, 지도교수 김 민)씨가 2023년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NRF)에서 지원하는 ‘2023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의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부분에 선정됐다.
김도필씨는 연구책임자로써 앞으로 2년 동안 ‘아민기와 에스터기를 활용한 단일 벤젠 기반 형광체 합성과 응용 연구’를 주제로 연구를 진행한다. 이 연구는 벤젠고리 1개를 기반으로 하는 매우 간단한 유기물 기반 형광체를 개발하고, 성질을 조절하는 내용으로, 김도필씨는 이번 사업을 통해 연간 2천만원의 연구비를 해당 주제를 위해 지원받는다.
한편, ‘2023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은 국내 대학원 박사과정의 학위 논문 연구와 관련된 창의적-도전적 아이디어를 지원하기 위해 2019년 시작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지원사업이다.
|
2023.09.07 |
451 |
지역건설공학과 맹승진 교수, 한국농공학회 제 37대 학회장 당선
지역건설공학과 맹승진 교수가 지난 8월 28일(월)자로 한국농공학회 학회장에 선출됐다.
맹승진 교수의 재임 기간은 오는 2024년부터 1월 1일(월)부터 2025년 12월 31일(수)까지 2년간이며, 우리나라 농업 기반 시설 및 지속가능한 농업 생산력 향상을 위한 농공학계를 이끌게 됐다.
맹승진 교수는 대통령 직속 금강유역물관리위원회 간사로 역할을 수행해 오면서, 국가위기관리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는 수자원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또한, 2021년에는 재해관련 연구개발 협업에 노력한 공을 인정받아 행정안전부 장관상도 수상한 바 있다.
한편, 한국농공학회는 1957년 1월에 창립된 이래로 농업공학에 관한 학문 연구와 기술 발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동시에 농업인의 복지를 향상시키고자 농업 기반 시설, 물관리 및 농지관리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학술단체다.
|
2023.09.07 |
383 |
의학과 엘리나씨, ‘2023상반기 의생명융합 맞춤형헬스케어 성과교류회’BK21 최우수 대학원생 선정
의학과 엘리나(K. C. ELINA, 박사수료, 지도교수 박영석)씨가 지난 8월 17일(목) 15시부터 18시까지 의과대학 본관 1층 첨단강의실에서 개최된 ‘2023 상반기 의생명융합 맞춤형헬스케어 성과교류회’ 에서 BK21 최우수 대학원생으로 선정됐다.
4단계 BK21사업 의생명융합 맞춤형헬스케어 인재양성단에서는 매 학기 참여대학원생들의 연구 실적을 평가하고 있으며, 엘리나씨는 의과대학 BK21 사업단 참여대학원생 평가 규정에 의해 2023학년도 1학기 최우수 대학원생으로 선정됐다. 부상으로 iPad Pro도 함께 수상했다.
엘리나씨는 신경병리학적 통증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는 ‘광유전학적 접근법을 이용한 신경병리학적 고통의 설치류 모델에 대한 연구’이다.
한편, 의생명융합 맞춤형헬스케어 인재양성단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창의적 의생명융합 맞춤형헬스케어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교과과정 혁신, 글로벌 수준의 교육체계 구축 및 국제교류 활성화 플랫폼 구축 등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2023.08.22 |
880 |
산림학과 홍지혜 학생, Mitochondrial DNA Part B Resources 논문 게재
산림학과 홍지혜 학생(4학년)이 제1저자로 참여한 연구논문이 국제전문학술지인 “Mitochondrial DNA Part B: Resources”에 지난 7월 27일(목)자로 게재됐다.
홍지혜 학생은 국내에 서식하는 고사리류 중 하나인 괴불이끼(처녀이끼과, Hymenophyllaceae)의 엽록체게놈을 분석했으며,“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Crepidomanes latealatum (Bosch) Copel(괴불이끼의 엽록체게놈 전체 서열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최종 출판됐다.
괴불이끼의 경우 유라시아지역의 열대 및 아열대지역에 폭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극히 일부지역에만 고립하여 분포하거나 불연속으로 분포하는 특성을 보이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V급에 해당되는 식물로 매우 제한적인 분포를 보이는 식물이다. 국명에는 “이끼”를 포함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고사리류에 속하는 식물이다. 엽록체는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세포소기관으로 고유의 유전체를 가지고 있으며, 엽록체게놈의 유전적 정보는 식물의 다양성 및 진화를 위한 연구 소재로 오랜 기간 활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괴불이끼의 엽록체게놈이 총 145,943bp로 구성되어 있고, 근연종인 부채괴불이끼의 엽록체게놈과 비교하여 531bp 짧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괴불이끼가 속한 괴불이끼속(Crepidomanes)이 처녀이끼과 내에서 누운괴불이끼속(Vandenboshia)과 계통학적으로 가장 근연임이 밝혀졌다.
한편, 이번 연구는 김정성 산림학과 교수 연구실과 경북대 김형태 식물자원학과 교수 연구실의 공동연구를 통해 수행됐다.
|
2023.08.21 |
701 |
생명시스템학과 최연재씨, 한국동물분류학회 우수구두발표상 수상
생명시스템학과 동물계통분류학연구실의 최연재씨(박사 4년, 지도교수 박종석)가 지난 8월 9일(수)부터 8월 11일(금)까지 강원대학교에서 열린 한국동물분류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우수구두발표상을 수상하였다.
최연재씨는 ‘Five new species of Bryaxis Kugelann(Coleoptera, Staphylinidae, Pselaphinae) from Korea and a nomenclatural note on Bryaxis mahunkai Löbl(한국산 들개미사돈속의 다섯 개 신종과 새들개미사돈에 대한 분류학적 보고)’란 제목의 논문을 발표해 상을 받았다. 이 논문은 Zookeys 저널에 투고해 지난 6월 16일(금)자로 게재를 승인 받았다.
들개미사돈속은 전 세계에 385종이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는 2000년 이후로 연구된 바가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 최연재씨가 발견한 다섯 종을 포함하면 현재 국내에는 18종이 알려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성과 미소서식지 특징을 고려하면 국내에 더 많은 종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립생물자원관 미개척분류군 전문인력 양성사업과 토양 무척추동물 발굴 및 다양성 연구(NIBR202028201, NIBR202002112)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됐다.
|
2023.08.21 |
526 |
재료공학전공 김도형씨, 제 21회 국제 나노기술 심포지엄 베스트 포스터상 수상
재료공학전공 김도형(석사과정 2년, 지도교수 조병진)씨가 지난 7월 5일(수)부터 7월 7일(금)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제 21회 국제 나노기술 심포지엄 (NANO KOREA 2023/The 21st International Nanotech symposium & Exhibition)에서 베스트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김도형씨는 ‘매립형 게이트 구조 도입을 통해 높은 전기적 안정성을 지닌 인듐-갈륨-아연 산화물 기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구현(High Electrical Stability of the InGaZnO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Buried Gate Structure)’이라는 연구주제로 발표해 Nanoelectronic Devices and Neuromorphic Devices분과에서 베스트 포스터상을 받았다.
연구 내용은 후면 게이트 전극이 매립된 형태의 비정질 InGaZnO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제작하면 채널층에 균일한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뿐만 아니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낮은 게이트 구동 전압에도 매우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고신뢰성의 매립형 트랜지스터는 향후 고성능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이번 NANO KOREA 2023 심포지엄은 “Nanodevice: Evolving into Intelligent Semiconductors”의 주제로 개최되었으며, 나노소자, 나노 에너지, 환경, 바이오, 재료, 제조업, 인공지능, 안전 등 13개의 주요 기술 분야에 대한 강연, 구두, 포스터 발표가 진행되었다. 또한, 각국의 저명한 인사들의 기조연설들도 함께 진행되었다.
|
2023.08.08 |
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