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친환경 에너지 연구,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논문 게재
- BK21 대학원 혁신지원사업 지원 통한 연구 성과 -
우리 대학 4단계 BK21 대학원 혁신지원사업이 지원한 연구가 환경공학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비-인바이런멘탈)”에 게재됐다. 해당 학술지는 관련분야 상위 0.9%에 이르는 논문으로 평균인용지수(IF)가 24.319에 달하는 세계적인 학술지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Surface hydroxyl group-enriched nickel cobalt molybdate hydrate for improved oxygen evolution activity in an ani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zer"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정상문 화학공학과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 논문은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물을 전기화학적으로 분해하는 기술을 소개한 것으로 정상문 교수 연구팀은 대량 생산이 가능한 나노구조의 금속 삼원계 수산화물 촉매를 합성하여 물 분해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분자모사를 통해 수소 생산 효율 향상의 원인을 이론적으로 규명했으며 알칼리 수전해조에서의 실증시험을 통해 상업 촉매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
본 연구는 임동희 환경공학과 교수와 박유세 신소재공학과 교수와의 공동 연구로 진행됐으며, 물 분해를 통한 수소 생산 상업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에 게재된 연구성과는 2021년 충북대 최우수연구역량 교원으로 뽑힌 교원들에게 지원한「글로벌 핵심리더 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충북대는 앞서 4단계 BK21 사업 대학원 혁신지원사업 대상 학교로 선정된 바 있으며, 대학원 혁신지원비를 통해 교내 연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충북대학교 BK21 대학원 혁신지원사업팀은 충북대가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관련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확보, 연구실 전용 공간 확충 및 연구실 환경 개선 등을 통하여 창의적 연구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
2023.03.17 |
866 |
아동복지학과 대학원생들, 한국청소년학회 우수논문상 대상 수상
아동복지학과 대학원생들이 지난 2월 25일(토) 총신대학교에서 열린 한국청소년학회 제10차 우수논문상 시상식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은 논문은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제1저자 김선미(박사수료), 신지은(박사수료), 추보경(박사 1년), 교신저자: 김영희 교수)’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1차년도(중1)~3차년도(중3) 3개년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이 지각하는 거부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의 종단매개효과를 검증했다.
한편, 한국청소년학회는 매월 말 ‘청소년학연구’를 발간하고 있으며, 지난 1년 동안 게재된 논문 가운데 우수논문을 선정하여 시상하고 있다.
아동복지학과는 ‘청소년학연구(2022년도 제 29권 1호~제 29권 12호)’에 게재된 논문 201편 가운데 가장 우수한 논문으로 선정되어 우수논문상 대상을 받았다.
|
2023.03.17 |
637 |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IEQAS) 인증 대학 10년 연속 선정
우리 대학이‘2022년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IEQAS)' 인증 대학으로 선정됐다. 이로써 우리 대학은 2013년부터 10년 연속 교육국제화인증대학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거뒀다.
이번 ‘2022년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IEQAS)'의 인증기간은 2023년 3월부터 오는 2026년 2월까지 3년간이다.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는 고등교육기관의 질 관리와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해 교육부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국제화 역량을 갖춘 대학을 인정하는 제도로 충북대는 학위과정과 어학연수과정 모두 인증을 받았다.
우리 대학은 2022년 인증평가에서 필수지표인 불법체류율, 핵심여건지표인 국제화사업 계획 및 인프라, 학생선발 및 입학의 적절성, 등록금 부담률, 성폭력 예방교육 이수율, 한국법령 이해교육, 학업․생활․진로 및 취업지원, 중도탈락률, 유학생 상담률, 공인언어능력, 만족도 등 13개 지표를 모두 충족했다.
교육국제화역량 인증 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은 ▲외국인 유학생 비자 발급 절차 간소화 ▲정부 초청 장학생 수학 대학 선정 시 가점 부여 ▲해외 한국 유학박람회 개최 시 참여 우대 ▲외국인 유학생 선발 자율화 등의 혜택을 받는다.
정진섭 국제교류본부장은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도 교육국제화역량인증 대학으로 선정된 것은 그동안 우리 대학이 외국인 유학생의 양적, 질적 관리에 충실한 결과이며, 앞으로도 외국인 유학생들이 오고 싶어 하는 대학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였다.
|
2023.03.17 |
356 |
행정학과 학생들, 청년이 제안하는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
행정학과 학생들이 민생당 부설 ‘재단법인 혁신과미래연구원’이 주최한 ‘청년이 제안하는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이번 공모전은 청년들이 제안하는 내용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을 바꿀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정학과 연민주(팀장,4학년), 강민서(3학년), 손은지(4학년), 최정현(4학년) 학생으로 구성된 ‘3444팀’은 지난 2월 23일(목) 전주화산체육관에서 열린 ‘청년이 제안하는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결승전 및 시상식에서 최우수상을 받아 이사장(당대표) 표창 및 상금 500만원을 받았다고 밝혔다.
3444팀’은 ‘라이트 온 – 임산부 배려석 개선방안’이라는 정책을 제안해 상을 받았는데, 이는 임산부 배려석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정책 제안이다.
팀장인 연민주 학생은 “공공정책분석 트랙의 대외활동 동아리원들이 모여 열심히 준비한 공모전이 좋은 성적을 거두어 매우 기쁘다”면서 “앞으로 우리의 꿈을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하고, 많은 곳에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수상한 ‘3444팀’은 지난 1월 11일(수)에 한국서부발전(주)에서 주최한 ‘전국민 코로나19 일상회복을 위한 소중한 내 일상 다시찾기’ 공모전에서 ‘집콕은 그만! 떠나자 스탬프 투어’로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
2023.03.06 |
709 |
간호학과, 8년 연속 국가시험 100합격 쾌거
간호학과가 8년 연속 간호사 국가시험 100% 합격이라는 쾌거를 거뒀다.
한국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한 2023년 제63회 간호사 국가시험에 졸업생 67명이 전원 합격했다고 밝혔으며, 이는 지난 2012년 간호학과 개설 이래 전원 100% 합격의 성과다.
간호학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글로벌 간호인재 육성을 위해 VR실습실, 멀티미디어실, PBL강의실 등 최첨단 교육환경을 구축하고 체계적 간호교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미국, 네팔, 인도네시아 등과 학생교류 및 봉사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진행하는 등 국제화에도 힘쓰고 있다.
김철규 간호학과장은 “지난 3년간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어려운 학습 여건이었으나, 학생들이 국가시험 100% 합격이라는 성과를 낸 것은 내실 있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과 학생에게 맞춤형 개별 지도를 통한 교육의 결과”라고 하였다.
|
2023.02.22 |
1364 |
수의과대학 대학원생들, 2023 한국줄기세포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수의과대학의 대학원생들이 한국줄기세포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다수 수상했다.
수의발생학 및 생물공학 실험실 오동진(박사 2년)씨와 김소희(석사 2년, 이상 지도교수 현상환)씨가 지난 1월 16일(월)부터 1월 18일(수)까지 홍천 소노벨 비발디파크 타워에서 개최된 ‘한국줄기세포학회 KSSCR 2023년 동계학술대회’에서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오동진 씨는 ‘인터루킨-7은 PI3K/AKT 경로를 조절하여 돼지 내부세포괴 및 배아줄기세포의 수립 관련 연구 (IL-7 Improves Porcine Inner Cell Mass and the Derivation of Embryonic Stem Cells by Regulating PI3K/Akt Pathway)’에 대한 주제로 발표하여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이 연구는 돼지 배아의 체외배양 기간 동안 인터루킨-7를 처리함으로써 배반포 내의 내부세포괴(Inner cell mass, ICM)가 PI3K/Akt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향상되고,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수립 효율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를 통해 발생학 분야에서 포유류 배아의 발달 과정 및 기전에 대한 이해도의 향상과 줄기세포의 생산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소희 씨는 ‘CCL2는 돼지 난구세포-난모세포 복합체의 체외성숙 관련 연구 (C-C motif Chemokine Ligand 2 Improves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Cumulus-Oocyte Complexes)’에 대한 주제로 발표해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본 연구는 돼지 난포액과 난포 내 세포에서 CCL2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돼지 난구세포-난모세포 복합체의 체외성숙 기간 동안 함께 처리한 CCL2가 돼지 난모세포의 핵성숙과 세포질 성숙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를 통해 발생학 분야에서 체외성숙을 위한 새로운 첨가물질을 발견하고, 난모세포의 체외성숙에 대한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번 한국줄기세포학회 KSSCR 2023년 동계학술대회는 암세포다양성분자제어연구센터 및 KAIST 줄기세포연구센터와 공동 주관으로 개최했다. 학회에서는 최신 줄기세포의 배양 및 분화 연구와 시험관 내 장기를 모사할 수 있는 여러가지 종류의 오가노이드 연구를 논의하는 유익한 학술대회를 진행했다.
|
2023.01.27 |
1352 |
정보통계학과 학생들, 천안시 데이터 기반 시각화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상 수상
정보통계학과 4학년 허주혁, 신승호, 장하영 학생팀(지도교수 허태영)이 한국평가데이터에서 주최한 ‘천안시 데이터 기반 시각화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지난 11월 28일 천안시청에서 진행된 이번 공모전은 빅데이터 활용 및 분석을 통해 천안시 행정업무 개선 아이디어 기획, 다양한 데이터로 천안시의 현재 모습을 담는 것을 목적으로 마련했다.
정보통계학과 학생팀은 공공데이터포털, TAAS(교통사고분석 시스템), 천안시청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천안시 교통사고 취약지역 도출’이라는 주제로 보고서 및 대시보드를 작성했으며, 이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아 우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한편, 공모전 수상작은 향후 천안시 행정업무 개선에 활용될 예정이다.
|
2023.01.27 |
1007 |
농업경제학과 교수와 대학원생, 제 2회 농업관측 논문경진대회 수상
농업경제학과 교수와 대학원생이 12월 14일(수)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식품정책학회, 한국농업경제학회, 한국축산경영학회가 공동 주관한 ‘제2회 농업관측 논문경진대회’ 축산물 분야에서 다수 수상하는 쾌거를 거뒀다.
조원주 교수가 최우수상을 받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을 김지수(석사 2년, 지도교수 김선웅)씨가 우수상을 받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상을 수상했으며, 부상으로 각각 상금 5백만원과 3백만원을 받았다.
농업관측 논문경진대회는 농·축산 부문 관측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참여를 유도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농업관측 고도화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대회에는 총 52개의 연구계획서가 접수됐으며, 연구결과에 대한 서면평가와 발표심사를 거쳐 총 18개의 과제가 최종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조원주 교수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축산물 소비자 가격에 미친 영향 분석’을 주제로 3가지 사회적 거리두기 변화를 절단점으로 설정한 회귀불연속 모형을 활용해 코로나19가 한우와 한돈 소비자 가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했다.
김지수씨는 ‘출생성비와 명절시기를 고려한 월별, 성별 한우 도축두수 예측모형 개발’을 주제로 기존에 제한적으로 시도되었던 중장기 성별, 월별 도축두수 예측모형을 구축했으며, 특히 한우의 생육 특성인 출생성비와 수요 특성인 명절효과를 예측모형에 적용하여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관측센터는 우수작 18편을 농업관측센터 홈페이지(aglook.krei.re.kr)에 게시했으며, 연구 결과물을 적극 검토해 새로운 수급모형 개발과 관측기법 연구를 위한 아이디어로 활용할 계획이다.
|
2023.01.20 |
1559 |
미국 네바다대학교 라스베이거스와 협정 체결
우리 대학은 지난 1월 6일(금, 현지시각) 오후 3시 미국 네바다대학교 라스베이거스(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이하 UNLV)와 협정을 체결하고 양교 학술교류방향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어 학내 기관투어를 통해 학교 관계자들과 구체적인 교류방향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날 협약식에는 정의배 총장 직무대리와 정진섭 국제교류본부장이 참석했고, UNLV 측에서는 키스 위트필드 총장(Keith Whitfield, President), 라마 벤캇 공과대학장(Rama Venkat, Dean for College of Engineering), 조재근 공과대 국제프로그램 디렉터(Jaekeun Cho, Director of Engineering International Programs) 등이 참석했다.
양 대학은 이번 협정을 바탕으로 학생교류를 통해 충북대 학생들에게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고, 교직원의 교류 및 공동연구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UNLV는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 위치한 공립종합대학으로 1957년에 설립됐으며, 현재 2만 4천여 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다. 호텔경영학 부문 미국대학순위 2위 대학으로 유명할 만큼 실무중심적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학, 심리학,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인기가 많은 대학이다.
|
2023.01.16 |
867 |
LINC 3.0 사업단 유범선 교수와 박나리 행정팀장,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이하 LINC 3.0) 사업단 유범선 산학협력중점교수와 박나리 행정팀장은 대학 및 LINC 3.0 사업의 산학협력 고도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유범선 교수는 ‘2022 산학협력엑스포’에서 산학협력 교육과 인력양성을 통한 고용확대 및 산업체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2년 산학협력 유공자로, 박나리 행정팀장은 ‘전국 LINC 3.0 사업 동계포럼’에서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2년 LINC 3.0 업무 유공자로 선정돼 수상했다.
유범선 교수는 취업패키지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학생 취업역량 강화에 핵심적으로 기여했고, 기업맞춤형트랙 프로그램 운영으로 기업 수요 맞춤형 인재 양성 및 학생들의 취업역량 강화해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친화형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했다. 이 밖에도 학내 학부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해 대학 내 산학친화형 교육과정 확산에 크게 기여했다.
박나리 행정팀장은 지난 1단계 LINC 사업과 2단계 LINC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충청권 거점 국립대학으로서의 산학연협력 선도를 위해 구성된 학내 ‘산학연협력 고도화 사업’ 추진 위원회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충북대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기술혁신선도형’으로 선정되는데 크게 이바지했다.
한편, 충북대 LINC 3.0 사업단은 전국 13개 기술혁신선도형 대학 중 하나로 선정돼 ▲대학원 참여를 통한 글로벌 산학연협력 및 교육 ▲고도화된 기업체 대상 교육 프로그램 운영 ▲기술이전 및 사업화 성과 극대화 ▲대학기술지주회사 운영 및 투자회수실적 증진 ▲지식/기술기반 창업 및 창업기업 보육/성장 활성화 등 산학연협력 기술혁신 및 미래가치 창출 등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2023.01.16 |
6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