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좌측메뉴 바로가기


트위터 페이스북

CBNU뉴스

홈 뉴스센터 CBNU뉴스
총 게시물 681 개    페이지 1 / 69
CBNU 뉴스 목록
제목 작성일 조회수
생물학과 김혜린 학생, 한국 분자․세포생물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의 사진 생물학과 김혜린 학생, 한국 분자․세포생물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생물학과 김혜린 학생(4학년, 지도교수 김상준)이 지난 2월 22일(수)부터 2월 24일(금)까지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에서 열린 ‘2023년도 동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학술대회(KSMCB 2023 Conference)'에서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김혜린 학생은 ‘c-Abl Regulates the Pathological Deposition of TDP-43 via Tyr Phosphorylation’라는 주제로 발표해 상을 받았다. 이 연구는 TDP-43와 c-Abl간의 관계, c-Abl에 의한 TDP-43의 인산화가 세포 내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 지를 밝히고, 이와 신경퇴행성 질환의 발병과의 연관성에 대해 언급했다. 한편,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는 생명과학 전 분야에 걸쳐 최신 연구 업적을 발표하는 국내 최고 권위 학회로 관련 분야의 연구 및 교육을 선도하고 있다. 2023.03.23 813
화학공학과 김범수 교수, 2월 ‘이달의 연구자’ 선정의 사진 화학공학과 김범수 교수, 2월 ‘이달의 연구자’ 선정 2023년 2월의 '이달의 연구자' 에 화학공학과 김범수 교수가 선정됐다. 김범수 교수는 피인용 지수(Impact Factor) 16.744, 학문 분야별 IF값 상위 2.5%의 국제 저명 학술지인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Production of polyhydroxyalkanoates and astaxanthin from lignocellulosic biomass in high cell density membrane bioreactor(고농도 세포 배양용 막 생물반응기에서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및 아스타잔틴 생산)’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김범수 교수는 자연계에서 100% 생분해 가능한 바이오 플라스틱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의 효율적인 생산을 위해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비식용 재생가능 자원인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이용하여 막 생물반응기에서 박테리아를 고농도로 배양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또한 고부가가치 항산화 색소인 아스타잔틴을 PHA와 동시에 생산하는 생물공정을 개발했다. PHA는 미생물의 체내에 에너지 저장물의 형태로 축적되는 폴리에스터로서 비분해성 합성 플라스틱과 견줄만한 우수한 성질을 가진 가장 유망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식품 포장용 및 일회용 제품 포장용 등으로 사용된다면 합성 플라스틱의 난분해성으로 인한 심각한 공해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김범수 교수는 “이달의 연구자상을 마련한 연구처에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연구자들이 보람을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지속되기를 바란다”며 “기존 석유기반 비분해성 플라스틱에 비해 비싸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PHA의 생산단가를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이번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우리 대학은 논문 발표 학술지의 피인용지수(IF) 및 학문분야별 IF값, R&D 수주 금액, 기술이전 금액 등을 기준으로 매 월 ‘이달의 연구자’를 선정하고 있다. 2023.02.22 1008
김지영 생활과학대학장, 제 21대 전국 생활과학대학 학장협의회 회장 선출의 사진 김지영 생활과학대학장, 제 21대 전국 생활과학대학 학장협의회 회장 선출 김지영 생활과학대학장(의류학과 교수)이 지난 2022년 12월 9일(금)에 열린 ‘전국 생활과학대학 학장 협의회 2022년 동계 세미나 및 총회’에서 제21대 전국 생활과학대학 학장 협의회 회장으로 선출됐다. 전국 생활과학대학 학장 협의회장으로 선출된 김지영 생활과학대학장은 “생활과학은 의, 식, 주, 아동∙가족, 소비자 등의 분야에서 인간생태학적 관점에서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융복합 실천 학문”이라며 “팬데믹 이후 급변한 삶의 환경으로 인해 생활과학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이므로 생활과학의 발전을 위해 협의회가 지속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전국 생활과학대학 학장 협의회는 지난 2002년 결성된 이래, 현재 전국 14개 국립 및 사립대학이 참여하여 생활과학에 관한 학문적 교류와 단과대학 차원의 정책협의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2023.02.10 1267
경영정보학과 서동백 교수, 1월 ‘이달의 연구자’ 선정의 사진 경영정보학과 서동백 교수, 1월 ‘이달의 연구자’ 선정 경영정보학과 서동백 교수가 2023년 1월의 ‘이달의 연구자’로 선정됐다. 서동백 교수는 피인용 지수(Impact Factor) 9.14, 학문 분야별 IF값 상위 4.167%의 국제 저명 학술지인 「Telematics and Informatics」에 ‘Comparing factors affecting self-disclosure behavior between German and South Korean SNS users(독일과 한국에서 SNS 사용자의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분석)’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서동백 교수는 나라마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어, SNS상에 자기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달라진다는 것을 비교분석해 규명했으며, 특히 SNS상에서 자기 노출이 일상화된 요즘 사회에 자기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서로 다른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독일과 한국을 비교한 것에 대한 연구다. 이 논문에서 서동백 교수는 한국에서는 가십(gossip) 문화가 자기 노출에 영향을 미쳤으나 독일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한국 사용자가 독일 사용자보다 SNS에서의 자기 노출이 관계 형성에 더 많은 혜택을 준다고 인지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동백 교수는 “지금까지 SNS 문화를 획일적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나라마다 다른 문화적 배경이 SNS상에서의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SNS 사용에 대한 연구에 기여했다” 고 이번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우리 대학은 논문 발표 학술지의 피인용지수(IF) 및 학문분야별 IF값 상위 %, R&D 수주 금액, 기술이전 금액 등을 기준으로 매달 ‘이달의 연구자’를 선정한다. 2023.02.10 824
환경공학과 이민지 학생, 한국건설기술인협회 미래건설기술 인재상 수상의 사진 환경공학과 이민지 학생, 한국건설기술인협회 미래건설기술 인재상 수상 환경공학과 이민지 학생(4학년)이 지난 1월 13일(금)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서 ‘미래건설기술 인재상’ 차세대 인재 대학생 부문의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미래건설기술 인재상’은 건설산업의 성장동력인 젊고 유능한 학생과 청년을 발굴 및 포상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인협회가 처음 제정한 상으로, 올해를 시작으로 매년 미래건설기술 인재상 시상을 통해 건설산업 이미지 제고와 인재유입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민지 학생은 우수한 학업과 대내·외적인 성취를 통해 건설 분야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 협회의 심사를 통해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국건설기술인협회는 지난 1월 13일(금) ‘2023년 신년인사회’를 열고 이상일 국토교통부 기술안전정책관, 권도엽 전 국토부 장관 등을 비롯해 협회 대의원, 기술인회·위원회 위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발전 비전2030'을 선포식을 통해 존경받는 건설기술인, 역량 있는 건설기술인, 함께하는 건설기술인의 3대 목표와 6대 핵심전략을 설정해 건설기술인의 성장과 산업 경쟁력 제고에 앞장설 것임을 밝혔다. 2023.01.20 1070
최성호 취업지원본부장, 진로탐색활동협력분야 유공 교육부장관 표창 수상의 사진 최성호 취업지원본부장, 진로탐색활동협력분야 유공 교육부장관 표창 수상 최성호 취업지원본부장(축산학과 교수)이 지난 2022년 12월 31(토)자로 진로탐색활동협력 분야 유공 교육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최성호 취업지원본부장(대학일자리센터장, 현장실습지원센터장 겸임)은 진로선택 관련 프로그램 유치, 중학생 및 고등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대한 바른 정보제공,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진로교육과정 개편 등 학생들의 평등한 진로교육에 대한 진로 선택 및 취업 기회 부여에 기여해 그 유공을 인정받아 표창을 수상했다. 취업지원본부는 교육혁신본부와 협업을 통한 프로그램 효과성 및 신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주도형 진로 선택 프로그램도 개발 및 운영했다. 외부기관(공기업) 협업을 통한 학생들의 진로 설정 기회 부여 등을 통해 다양한 진로탐색의 장을 제공했다. 또한, 현장실습 영역에 현장실습지도를 통한 학생 진로 설정 기회를 확대하고 해외 현장실습처 및 취업처 발굴, 현장실습과 연계한 취업 프로그램 개발, 산학코디 프로그램 활성화 등의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성호 취업지원본부장은 충북지역 진로․취업처장협의회 회장을 역임하며 충북지역 대학의 프로그램 공유/협업을 통한 도내 진로 선택 및 탐색 기회를 확대하고 진로 탐색 ESG, 취업 관련 콘텐츠 개발 및 보급에 기여했다. 최성호 취업지원본부장은 “다변하는 환경 속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찾고 또한 기업과 지역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노력했다. 앞으로도 거점국립대학의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2023.01.20 963
행정학과 적림배씨, SSCI급 국제 저널 논문 게재의 사진 행정학과 적림배씨, SSCI급 국제 저널 논문 게재 행정학과 Zhai Linpei(적림배, 박사 수료, 지도교수 이재은)씨의 논문이 지난 1월 4일(수)에 JCR-Q1인 SSCI급 국제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국제 환경연구 및 공중보건 저널, IF(2021). 4.614; 5년 IF. 4.799)’에 게재됐다. 적림배씨는 교신저자이자 중점연구소 사업 책임교수인 이재은 행정학과 교수의 지도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했으며, ‘Analyzing the Disaster Preparedness Capability of Local Government Using AHP: Zhengzhou 7.20 Rainstorm Disaster(AHP를 이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재해대비능력 분석: 정저우 “7.20 폭우 재해”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이 논문은 2021년 중국의 정저우(Zhengzhou)시에서 발생한 ‘7. 20. 폭우 사태’를 중심으로 폭우재해 대비 능력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비교해 각 지표들이 재난 대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논문으로 향후 재난 대비 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업무에 대한 의사결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적림배씨는 “지도교수님과 충북대의 다양한 지원으로 SSCI논문을 게재하게 돼 매우 뿌듯하다.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더욱 더 흥미로운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지도교수인 이재은 교수는 “인문·사회계열에서 대학원생이 SSCI 저널에 논문을 싣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며, 지난 해 봄부터 약 7개월에 걸쳐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문가 대상 AHP설문지 구조화 및 조사를 하고, 계속해서 수정 및 보완하는 등 연구 과정을 거치는 것 자체가 큰 공부가 되었을 것”이라고 소감을 전하며, 특히 이번 논문 게재는 충북대의 지원이 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2023.01.16 731
수의학과 김일화 교수, 한국우병학회 제 28대 회장 취임의 사진 수의학과 김일화 교수, 한국우병학회 제 28대 회장 취임 수의학과의 김일화 교수가 제28대 한국우병학회 회장으로 취임했다. 임기는 지난 1월 1일(일)부터 오는 12월 31일(일)까지 1년간이다. 김일화 교수는 국민의 중요한 먹거리인 소고기 및 유제품의 안전하고 지속적인 생산을 위한 소 전문 수의사의 배출과 역량의 향상은 매우 중요하지만, 소를 다루는 위험성과 체력 소모가 큰 직업으로 기피의 대상이 됐던 열악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학회 임원과 회원들 간의 협심을 통해 한국우병학회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젊고 유능한 수의사 충원을 통한 소 임상 진료의 활기를 높이고자 다방면으로 노력할 예정이다. 김일화 교수는 “지속적인 새로운 임상 기술 개발 및 현장 접목으로 소 전문 수의사의 역량 강화와 축산 농가의 수익성 증대에 기여하기 위한 노력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한국우병학회는 1996년에 창립됐다. 한국우병학회는 소의 전반적인 질병에 대한 학술연구를 통해 임상 진료 기술의 향상과 축산업 발전에 기여를 목표로 하는 학회로서, 소 전문 진료 수의사 500 여명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3.01.06 711
간호학과 김경미 교수, 국민 건강 향상 공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의 사진 간호학과 김경미 교수, 국민 건강 향상 공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김경미 간호학과 교수가 지난 12월 6일(화)에 감염병 예방관리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국민건강향상에 이바지한 공로로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김경미 교수는 국내에서 감염관리가 본격적으로 태동하던 시기인 지난 1994년에 대학병원에서 감염관리간호사로서 감염관리실무 업무를 시작한 이래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부회장과 감사,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부회장, 메르스즉각대응팀 민간전문가, 중앙방역대책본부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또한, 그동안 국내·외 저널에 다수의 감염관리 관련 논문을 게재하고 최근에는 요양병원 감염관리 교육과정과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대응지침의 의료기관 대상 교육 훈련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고, 의료관련감염관리교육과정 운영, 가상현실(VR) 기반 감염관리 교육 콘텐츠 개발 등 감염관리 관련 연구를 수주하여 수행해왔다. 김경미 교수는 “국내 감염관리활동의 초창기부터 감염관리 실무와 연구활동을 해온 전문가로서 특히 감염관리 인프라가 취약한 의료기관과 직종의 감염관리 실무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2023.01.03 547
신소재공학과 이동주 교수,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수상의 사진 신소재공학과 이동주 교수,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수상 신소재공학과 이동주 교수가 지난 12월 22일(목)에 산학연충북지역협의회, 산학연대전지역협의회가 주최한 ‘2022년 충청권(대전‧세종‧충북) 산학연 우수성과 연합발표회에서 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이날 연합발표회는 지역대학‧중소기업의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의 성과 공유 및 기술교류와 산학협력에 기여한 유공자 포상과 격려를 통한 기술개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이날 산학연 참여기업, 교수, 대학 및 관계기관, 유관기관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동주 교수는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애로기술 해소에 기여하고 산학연협력 사업에 기여한 공적을 인정받았다. 이동주 교수는 “실험실 내 학생들과 학과 교수,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을 위해 아낌없이 지원해 준 충북대 등 모두의 도움이 컸다”며 “앞으로도 대학에서 개발된 기술이 사업화로 이어져 지역중소기업 발전에 힘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2023.01.03 512
게시물 검색

퀵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