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좌측메뉴 바로가기


트위터 페이스북

CBNU뉴스

홈 뉴스센터 CBNU뉴스
조회수 : 2693 작성일 : 2022.09.26
‘9월 이달의 연구자’로 물리학과 강현구, 김경호 교수 선정 상세보기
‘9월 이달의 연구자’로 물리학과 강현구, 김경호 교수 선정
카테고리 뉴스
작성자 대외협력부
‘9월 이달의 연구자’로 물리학과 강현구, 김경호 교수 선정의 사진 1


우리 대학 ‘9월 이달의 연구자’로 물리학과 강현구 교수, 김경호 교수를 선정했다.

먼저, 강현구 교수는 피인용 지수(Impact Factor) 17.521, 학문 분야별 IF값 상위 5.942%의 국제 저명 학술지인 「Advanced Science」에 ‘Organic Anisotropic Excitonic Optical Nanoantennas’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강현구 교수는 비등방성 엑시톤 유기 물질을 이용한 나노안테나를 제작하고 그 나노광학적 특성을 규명했다.

연구진은 엑시톤 유기 물질로 나노구조를 제작하기 위해 유기물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나노공정을 개발하고, 실제로 그 공정을 통해서 성공적으로 엑시톤 물질 기반 나노안테나를 제작하여 나노광학적 특성을 연구하고, 제작된 유기 엑시톤 나노안테나는 기존에 예측된 국소 표면 엑시톤 폴라리톤 공명 뿐만 아니라, 미 공명을 통해서도 빛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확인했다. 나아가 유기 분자 특유의 구조적/광학적 비등방성에 의해, 관측된 공명이 쌍곡 폴라리톤 특성이나 타원 미 특성을 보이는 것도 입증했다.

강현구 교수는 “유기 엑시톤 분자로 나노 구조의 특성이 예측된 이후 근 10년 동안 구현되지 못했던 유기 엑시톤 나노안테나 연구에 성공했고, 더불어 기존 예측을 넘어선 새로운 공명 현상들도 발견할 수 있었다” 라고 이번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김경호 교수는 피인용 지수(Impact Factor) 32.086, 학문 분야별 IF값 상위 2.147%의 국제 저명 학술지인 「Advanced Materials」에 ‘Efficient Photon Extraction in Top-Emissio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Based on Ampicillin Microstructures’논문을 발표했으며, 광산란체가 삽입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광특성 향상 작동원리를 규명했다.

김경호 교수 연구팀은 Ampicillin 마이크로구조물을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발광층에 삽입하고 그 발광특성을 측정했다. 그 결과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외부양자효율이 대략 68% 향상된 수준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효율 향상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다양한 전기/광학적 실험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분석연구를 수행했다.

김경호 교수는 이 연구에서 Ampicillin 마이크로구조물에 의한 전기화학적 특성변화뿐 아니라 마이크로구조물에 의한 광산란이 성능향상에 기여함을 확인했고, 특히 유기발광다이오드에 도파관 모드로 갇히는 빛이 마이크로구조물 광산란을 통해 효과적으로 빠져나올 수 있음을 규명했다.

김경호 교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에 직접 광산란체를 넣어 성능향상을 한 접근법이 성공적으로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라고 이번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우리 대학은 연구성과가 우수한 연구자 발굴을 통해 연구자의 권위와 명예를 높이고, 자율적 연구환경 분위기 고취와 연구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이달의 연구자’제도를 도입했다.

 

파일

퀵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