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구의 환경문제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가장 중요한 위기로 인식되고 있다. 이상기후 및 지구온난화, 범지역적 대기환경문제, 수자원의 지역적 편중 및 수질오염 등의 환경 복원을 위한 첨단 및 적정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학과는 1984년에 설립되어 그 동안 수질, 대기, 폐기물, 소음ㆍ진동 등 산업화 과정에 수반되는 총체적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학문과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 교수하여 유능한 환경 엔지니어를 양성해 오고 있다.
특히, 2004년 교육부가 주관하는 지방대학교혁신역량강화사업(nuri)인 바이오산업전문인력양성 학과로 5년간, 연간 3억원의 재정지원과 2006년 2단계 bk사업(brain korea 21)인 “자원순환적 환경도시기술개발사업단”으로 지정되어 7년간, 연간 6억원의 재정적인 지원을 받았다. 2013년 bk21 플러스 사업인 “에너지 자원 자족형 미래 환경도시 융합기술 인재양성사업단”으로 선정되어 7년간, 연간 6억원의 재정지원을 받는다. 계속적으로 학생들의 교육여건개선과 취업역량강화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졸업생들은 환경부, 국토교통부, 보건복지부를 비롯하여 산하단체인 국립환경과학원, 질병관리본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등의 중앙공무원 및 각 시ㆍ도 지방공무원, 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한국토지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공기업, 환경배출시설을 가지고 있는 수많은 일반기업과 용역회사, 환경오염방지업체, 벤처기업, 국가 및 지방 환경연구소, 언론계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동번호 | e-10동 |
---|---|
건물명 | 공과대학5호관 |
호수 | 9층 914호 |
전화번호 | 043-261-2465 |
팩스번호 | 043-264-2465 |
성명 | 전화번호 | 담당 |
---|---|---|
김재용 | 043-261-2471 |
교수 환경에너지공학 |
전항배 | 043-261-2470 |
교수 상하수도공학 |
정세웅 | 043-261-3370 |
교수 환경시스템공학 |
조영철 | 043-261-3577 |
교수 환경공학과(환경생명공학) |
이상섭 | 043-261-2468 |
교수 에너지공정및대기오염제어 |
임동희 | 043-261-2467 |
교수 환경응용화학및계산화학 |
윤여명 | 043-261-2466 |
교수 폐기물자원화 |
홍혜진 | 043-261-2469 |
교수 수처리공학 |